공지사항

2025.09.02

SMATEC 2025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구축 컨설팅 상담회] 참여기업 모집공고  SMATEC2025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구축컨설팅 상담회 참여 기업 모집  2025년 11월 5일부터 7일까지 수원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제7회 스마트공장구축 및 생산자동화전(이하 “SMATEC2025”)』 에서 스마트공장 도입 또는 예정기업의 구축 방안 및 애로사항 해결을 위한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구축 컨설팅 상담회”를 진행하오니, 동 상담회에 참여를 희망하는 도입 또는 도입 예정기업은 모집 안내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2025년 9월 2일SMATEC2025□ 추진 목적 ㅇ 스마트공장 도입(예정)기업을 대상으로 산업별 현장 특성에 적합한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구축 컨설팅”을 통해 대기업 퇴직인력 등 기술전문가의 노하우를 전수함으로서 스마트공장 구축 방안 및 애로사항 해결을 통한 운영 성과 제고□ 모집 개요 ㅇ 모집 기업 수 : 총 100개사, 1개사 당 최대 4명 참석 가능    * 컨설팅전문가 산업별 주력업종 - ①기계·장비, ②금속가공, ③자동차 부품/수송,      ④반도체, ⑤전기장비/전자부품, ⑥화학제품, ⑦고무제품/플라스틱, ⑧식료품,      ⑨섬유제품,⑩의료정밀기기 ⑪기타제조업 ㅇ 신청자격 : 스마트공장 구축 예정 또는 운영 중인 중소·중견 제조               기업 ㅇ 상담일시 : 2025. 11. 5(수)~7(금), 10:30~12:00/13:00~17:00(5시간) ㅇ 상담 시간 : 1건당 60~90분 소요  ㅇ 상담장소 : 수원컨벤션센터 전시장 내               “SMATEC 2025 산업별 맞춤형 스마트공장구축 컨설팅 상담장”       ㅇ 상담 내용    - 스마트공장 도입 및 운영을 위한 현장개선, 기술애로 해결, 구축과정‧운영 실무 지도 및 기타 대기업의 제조 노하우 전수□ 상담회 진행 컨설팅 전문가* ㅇ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스마트공장 전문가 풀에 등록이 완료되어, 지역제조혁신센터(TP)에서 승인을 받아 스마트공장 전문가로 활동 중인 기술 전문가 *전문가 이력 정보는 컨설팅 확정된 기업에 한해 추후 제공 예정□ 지원내용 ㅇ 컨설팅 무료 상담 및 전시회 참관, 국제컨퍼런스 참여 혜택 제공□ 상담회 진행 절차①상담신청(~10월 24일)②참여기업선정(상시)③상담 관련 자료 취합④상담 일정표확정(10월 24일)⑤상담회 진행(11월 5일~7일) ※ 상담 대상 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과 관련된 자료는 사전에 사무국에서 취합하여    컨설팅 전문가에게 전달 예정□ 신청 기간 및 방법 ㅇ 신청기간 : 2025. 10. 24(금), 18시까지(선착순 마감) ㅇ 제출서류    - 온라인 참가신청 상접수  - 사업자등록증, 개인․기업정보활용동의서(붙임자료 3, 신청시 제출)  - 컨설팅 상담회 참여 계획서 (붙임자료 2, 선정된 업체만 제출) ㅇ 신청방법 : [네이버 플랫폼] (https://naver.me/FaOOhrd8) ㅇ 문의처 : SMATEC2025 사무국 (T. 02-588-2526)

더보기  +

산업뉴스

2024.08.16

"데이터·AI·연결이 DX 핵심…스마트 팩토리 아닌 스마트 컴퍼니가 지향점" 주영섭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제조업 새로운 혁신 절실한 시점DX는 효율성·경쟁력 회복할 열쇠공장 변화 아닌 '기업 변화' 명심해야“디지털전환(DX)은 생산성과 품질 향상, 원가 절감, 공정 시간 단축 등 제조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방안입니다.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DX에 뒤처지면 기업은 물론 국가도 경쟁에서 낙오할 수밖에 없습니다.” 주영섭 서울대 공학전문대학원 특임교수(전 중소기업청장·사진)는 지난 13일 “대한민국의 성공 전략이던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를 가능하게 한 효율성이 떨어지면서 고임금·저효율 국가로 접어들고 있는 지금이 새로운 혁신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DX가 약해진 효율성을 되찾고 경쟁력을 회복할 최선의 전략”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DX는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oT) 등 연결을 통해 생성되고 수집되는 많은 데이터를 인공지능(AI)이 분석해 새로운 가치나 성장동력을 만드는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다. DX에는 이 밖에도 클라우드, 디지털트윈, 로보틱스, 3차원(3D) 프린팅 등 4차 산업혁명의 기반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기술이 접목된다.주 교수는 AI, 데이터, 연결을 DX의 세 가지 핵심 요소로 꼽았다. 이 중 연결은 기업과 소비자 혹은 기업과 협력사, 기업 내부 생산 장비나 프로세스 간에 이뤄지는 다양한 디지털 연결을 말한다. 그는 “이런 연결을 통해 기업은 다양한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이 데이터를 AI 등을 통해 분석하고 활용해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거나 혁신하면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무엇보다 소비자 개개인의 취향을 저격하는 데 DX가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주 교수는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연결을 통해 기업이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맞춤형 비즈니스가 부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런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에 따라 다품종 소량 생산 체제를 구축하는 쪽으로 제조 시스템이 점차 변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DX를 단순한 ‘공장 자동화’로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게 주 교수의 당부다.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에 대응하려면 제조 시스템 혁신은 물론 영업이나 개발 전략 등을 두루 고려해야 하는 만큼 기업이 DX를 추진할 때 ‘스마트팩토리’가 아니라 ‘스마트컴퍼니’를 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점에서다. 그는 “제조업에서 시급히 개선해야 할 가장 큰 오해는 DX를 공장 단위 활동으로 간주해 공장 혁신, 생산 시스템 혁신에 집중하는 것”이라며 “DX는 공장의 변화가 아니라 기업 전체의 변화인 만큼 공장장이 주도하는 혁신이 아니라 기업 최고경영자가 주도하는 혁신이어야 성공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AX(AI 전환)와 관련해선 “데이터 없는 AI는 유명무실하고, 연결 없는 데이터도 의미가 없다”며 “DX와 AX는 별개가 아니라 한 몸처럼 유기적으로 연결된 개념”이라고 했다.이정선 중기선임기자    출처 : 한국경제신문(www.hankyung.com)​   >>> 기사 원문 바로가기​  

더보기  +